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D4if/btqHujjFe3H/Wt0Fk78TTqrCpSFitskjc1/img.png)
이제는 더이상 웹페이지는 절대적으로 지정된 크기로 코딩돼서는 안된다. 모바일로, 태블릿으로, 노트북으로 그리고 컴퓨터로 심지어 스마트 워치 등 화면의 사이즈는 날이 갈 수록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절대적 크기는 사용자 경험에 큰 불편을 가져다 준다. 한 예로, 2G 폰을 쓰던 시절, 인터넷에 들어가면 컴퓨터에서 보던 화면이 그대로 깨알같이 그 작은 화면으로 들어갔던 경험을 해본 적 있을 것이다. 또한, 스마트폰에서도 pc버전으로 보기를 누르면 그렇게 나온다. 그러나 이는 크게 불편하기 때문에 당연히 반응형으로 제작해야 한다. 단위는 절대단위와 상대단위로 나뉜다. 절대단위(absolute unit) css에서의 절대단위는 보통 px(픽셀), pt(포인트)를 많이 쓴다. 그렇지만 이 단위들은 화면의 크기가 ..
Basic_Studies/CSS
2020. 8. 27. 22:41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nuxt 공식문서 한글
- nextjs 스크롤
- 10989 파이썬
- 글래스모피즘 구현
- dvd 효과
- css marquee
- 리액트 스크롤
- Til
- 글래스모피즘 애니메이션 구현
- 백준 10989 파이썬
- nextjs 파라미터 넘기기
- react router
- 카페음료테스트
- NextJS
- 파이썬 크롤링
- 리액트
- nuxt 공식문서
- 리액트 컴포넌트
- 리액트 라우터
- next.js 리다이렉트
- 움직이는 글래스모피즘
- css 글래스모피즘
- 파이썬 정렬
- 자바스크립트
- vscode venv
- 화이팅
- bs4 크롤링
- 리액트 파라미터 넘기기
- getserversideprops redirect
- 파이썬 flas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