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TIL Today I Learned

[TIL]200820

adore_voy 2020. 8. 20. 22:25

- 데이터베이스에 기록을 저장했다. 뭔가 처음 클라이언트 부분과 백엔드 부분을 연결시킬 때 보다 쉬워진 기분. 이 부분의 시간이 꽤 걸릴 줄 알았는데 예상치 못한 잘못짜여진 CSS와 HTML 수정이 더 힘들었다.

- flask에서 @app.route의 methods가 적혀있지 않다면 디폴트 값은 get이다. 때문에, 메소드가 겹치게 된다면 링크 주소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get과 post로 설정해야한다.

- css에서 %나 px값이 아닌 vh로 하면 유동적으로 화면 길이가 보여진다.

.container {
 	height: 100vh;	//높이가 내가 보는 화면의 높이로
    max-width: 360px;
}

자주 쓰이는 css 단위들 간단 정리

절대길이와 상대길이가 있다. 대부분 상대길이를 이용하는듯. 반응형 웹사이트가 필수인 시대이기 때문임.

절대길이: cm, mm, px

상대길이:

em - 엘리먼트의 폰트 사이즈와 관련됨. 2em은 현재 폰트 사이즈의 2배를 뜻함

포 - 뷰포트(viewport: 브라우저 창 사이즈)의 1% 높이. 때문에, 보는 화면에 꽉찬 높이를 원하면 100vh로 해야함.

-쿠키에 저장하게 되면 굳이 창을 열 때마다 새로 적어주지 않아도 데이터가 유지된다. 쿠키저장하는법을 알아내야겠다.

-db에 저장해둔 기록들을 ajax get방식을 이용해 html에 덮어씌워주었다.

반응형

'TIL Today I Learne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TIL]200823  (0) 2020.08.24
[TIL]200822  (0) 2020.08.23
[TIL]200821  (0) 2020.08.21
[TIL] 200817  (0) 2020.08.17
[TIL] 200816  (0) 2020.08.16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