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getElementById()를 쓰는 경우와 querySelector()를 쓰는 경우는, id를 검색할 때 와, 그 이외의 것들을 검색할 때로 나뉜다. id만 선택하는 경우는 비교적 처리 속도가 빠른 getElementById()를 쓰고 나머지는 querySelector()를 쓰는 것이다. - 노트 앱을 만들었다. 노트 앱의 저장은 localstorage에 한다. 세션에 저장해서 계속 기록을 남기는 줄 알았는데 localstorage를 좀 더 공부해야겠다. 기능: 쓰고, 수정하고, 삭제하고, 저장하는 CRUD기능.
-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코딩을 하다 보니 관련한 헷갈리는 문법들을 반복중이다. 예를 들면, promise 라던지 async / await 라던지 콜백이라던지 말이다. 반복해서 읽으니 이해는 감. 하지만 내가 현재 공부하는 분의 코딩처럼 왜 해당 부분에 async를 써야 하는지 자유자재로 썼으면 하는 바람이다. - 이 분은, 함수명이나 변수를 해당 함수나 변수의 기능 그대로를 나타내 줄 수 있는 최적의 변수명으로 지으려 계속 노력하신다. 사소한 것 같지만 완벽한 코드를 만드려고 하는 모습을 본받아야 겠다고 생각했다. 우스갯소리로 개발자분들이 가장 노력을 기울이는 부분이 변수명짓기라고들 하는데 정말 처음부터 대충 지으면 코드가 길어질 수록 두뇌에 한계가 와 낭패를 볼 것 같았다. - 코딩 순서: html로 ..

- 레시피 프로젝트를 만들었다. 아직 중간까지만. 반복해서 함수를 짜니 나쁘지 않은 공부인 것 같다. 음식 관련 api를 이용해서 랜덤으로 나온 음식 중 마음에 드는 음식은 하트를 누르고, 누르는 순간 해당 음식의 id가 localstorage에 저장이 되는 방식이다. 이후에는 좋아요를 누른 음식을 위 favorite meals에 추가시킬 예정임. - JSON.stringify는 JSON 형태의 데이터를 string으로 변환시켜준다. 반대로, JSON.parser은 string을 JSON 형태로 변환시켜준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Til
- 백준 10989 파이썬
- nuxt 공식문서
- dvd 효과
- 리액트
- 카페음료테스트
- 파이썬 flask
- 리액트 파라미터 넘기기
- 리액트 컴포넌트
- 파이썬 정렬
- css marquee
- NextJS
- 화이팅
- 자바스크립트
- nuxt 공식문서 한글
- 리액트 라우터
- nextjs 스크롤
- 리액트 스크롤
- react router
- bs4 크롤링
- 움직이는 글래스모피즘
- css 글래스모피즘
- 글래스모피즘 애니메이션 구현
- vscode venv
- 파이썬 크롤링
- nextjs 파라미터 넘기기
- 글래스모피즘 구현
- 10989 파이썬
- next.js 리다이렉트
- getserversideprops redirec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